아스카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카 문화는 6세기 후반부터 7세기 후반에 걸쳐 일본 아스카 지역을 중심으로 꽃피운 불교 문화를 의미한다. 538년 또는 552년 백제로부터 불교가 전래된 후, 소가씨의 지원 아래 불교가 융성하며 아스카데라, 시텐노지 등의 사찰이 건립되었다. 백제와 고구려의 승려들이 불교 전파에 기여했으며, 조각, 건축,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아스카 대불, 호류지 금당 석가 삼존상 등이 있으며, 삼경의소, 천수국수장 등 쇼토쿠 태자와 관련된 유물도 존재한다. 또한, 백제 승려 관륵이 역본과 천문·지리서를, 고구려 승려 담징이 종이와 먹을 전래하는 등, 주변 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문화를 발전시켰다. 아스카 시대에는 여러 궁실이 건설되었으며, 일본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카 시대의 문화 - 미즈라
미즈라는 머리카락을 두 갈래로 나누어 귀 옆에서 묶어 늘어뜨리는 일본의 전통적인 머리 모양을 의미하며, 고대에는 남성도 했고, 총각머리는 미즈라의 변형이다. - 일본의 문화사 - 충견 하치코
충견 하치코는 주인이 사망한 후에도 10년간 시부야역 앞에서 주인을 기다린 아키타견으로, 그의 충성심은 '충견'의 상징이 되어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으로 만들어졌고 현재 시부야역 앞에 동상이 세워져 있다. - 일본의 문화사 - 겐로쿠 문화
에도 시대 겐로쿠 연간에 상업 발달로 경제력을 갖춘 상인 계층이 주도하여 오사카와 교토를 중심으로 융성한 겐로쿠 문화는 새로운 세계관과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룬 에도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적 황금기이다. - 불교 문화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문화 - 만다라
만다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우주와 인간의 내면을 상징하는 기하학적 도형으로, 명상, 의식,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아스카 문화 | |
---|---|
개요 | |
![]() | |
시대 | 고분 시대 말기 ~ 나라 시대 초기 |
중심지 | 야마토국(아스카쿄) |
배경 | |
정치적 배경 | 스이코 천황과 쇼토쿠 태자의 섭정 |
사상적 배경 | 불교 유교 도교 |
특징 | |
건축 | 불교 사찰 건축의 시작 아스카데라 시텐노지 |
미술 | 불상 제작 (중국 북위 양식 영향) 아스카 대불 호류지의 백제관음상 |
사상 | 불교 장려 유교적 통치 이념 확립 일본 최초의 헌법 제정 |
역사서 | 천황기 국기 (현존하지 않음) |
영향 | |
문화적 영향 | 하쿠호 문화 덴표 문화 |
정치적 영향 | 율령 체제 확립 기반 중앙 집권 국가 체제 강화 |
주요 인물 | |
왕족 | 스이코 천황 쇼토쿠 태자 |
귀족 | 소가노 우마코 오노노 이모코 |
승려 | 혜자 관륵 |
주요 사찰 | |
사찰 목록 | 아스카데라 (호코지) 시텐노지 호류지 주구지 야쿠시지 가와라데라 오미야데라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견당사 견수사 일본의 불교 일본사 |
2. 불교의 전래
538년 (선화 천황 3년) 또는 552년 (긴메이 천황 13년)에 백제로부터 불교가 공식적으로 전래되었다. 『일본서기』는 긴메이 천황 13년 (552년)에 백제의 성왕이 금동 석가불상, 경전 등을 천황에게 헌상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반면, 『상궁성덕법왕제설』, 『원흥사연기』는 긴메이 천황 7년 무오년 (538년)의 일로 기록하고 있다. 현재는 불교 공전을 538년으로 보는 설이 일반적이다.[1]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사찰인 아스카데라(飛鳥寺)와 시텐노지(四天王寺)는 씨사(氏寺)로 창건되었지만, 이후에는 관사(官寺) (천황이 발원하고 국가가 유지하는 사찰)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1] 사찰 건축 및 불상 제작 기술자는 주로 백제에서 온 도래인과 그 후손들이었다.[1]
당시 불교 수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은 소가씨였다. 소가씨는 백제의 성왕이 일본 조정에 전해 온 금동 석가상과 경전 몇 권 중 불상을 오하리다(小墾田)의 집에 안치하고, 무쿠하라(向原)의 집을 향원사로 삼았다 (『일본서기』).[1]
불교 수용과 유포에 크게 기여한 소가씨와 이에 반대한 모노노베씨의 대립 (숭불 논쟁)은 소가노 우마코와 모노노베노 모리야 간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에서 승리한 소가씨와 소가씨 계열의 왕 아래, 왕권의 본거지인 아스카쿄를 중심으로 불교 문화가 발전하였다.[1]
아스카 불교는 백제와 고구려의 승려들이 이끌었다. 595년 (스이코 3)에 고구려 승려 혜자, 백제 승려 혜총이 일본으로 건너와 귀화하였고, 이듬해에는 아스카데라에 머물게 되었다.[1]
7세기 후반에는 중앙 정부가 지방 호족에게 사찰 건축을 장려하여 전국적으로 사찰 건축이 활발해졌다.[1]
3. 불교 사원
나니와(難波) (오사카)에 위치하며, 『일본서기』에 따르면 쇼토쿠 태자(聖徳太子)의 발원으로 593년 (스이코 천황 원년)에 짓기 시작했다. 아스카데라(飛鳥寺)와 함께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본격적인 불교 사찰 중 하나이다.
스이슌 천황(崇峻天皇) 시대인 588년 (스이슌 천황 원년)에 착공되어, 596년 (스이코 천황 4년)에 완성되었다. 소가씨(蘇我)의 소가노 우마코(蘇我馬子)가 조영의 중심이 되었다.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사찰로, 씨사(氏寺)이지만 소가계 왕족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관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가람은 남북의 중축선상에 남쪽부터 남문, 중문, 탑, 금당, 강당이 일직선으로 배열되지만, 탑의 동서에도 금당이 배치되는 삼금당식이다. 593년 (스이코 원년) 탑의 심초에 불사리를 안치했다고 한다.
스메이 천황(舒明天皇)에 의해 639년 (스메이 천황 11년)에 건립되었으며, 스메이의 사후, 부인인 사이메이 천황(斉明天皇)과 아들인 덴지 천황(天智天皇)에 의해 계승되었다.최초의 천황가 발원의 불교 사찰이다. 완성 당시에는 소가 씨가 발원한 아스카데라를 훨씬 능가하여 구중탑이 우뚝 솟아 높이는 호류지 오층탑의 두 배나 되어 현대의 25층 빌딩에 해당하며, 당시 동아시아에서도 최상급의 사찰이었다.
요메이 천황(用明天皇)에 의해 발원되었으며, 그 유지를 계승한 쇼토쿠 태자(聖徳太子)와 스이코 천황에 의해 607년 (스이코 천황 15년)에 창건되었다. 창건 가람은 670년 (덴지 천황 9년)에 소실되었으며, 현존하는 서원 가람은 그 후의 재건이지만,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진씨의 씨사(氏寺)이다.
사이메이 천황(斉明天皇) 원년 (642년)에 삼국에서 온 젠코지식 아미타 삼존(善光寺式阿弥陀三尊)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고, 사이메이 천황 3년 (644년) 사이메이 천황의 칙원에 의해 본당을 창건했다.
미나미부치(明日香村)에 위치하며, 나라 시대 건물 기단(基壇) 등이 발굴되었지만, 아스카 시대의 유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4. 조각
불상의 재질은 목조(대부분 녹나무)와 금동조(구리제 도금)가 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다음이 있다.
- 아스카데라 석가여래상(아스카 대불) - 구라쓰쿠리노 토리의 작품(머리와 손가락 일부가 현존)[1]
- 호류지 금당 석가 삼존상 - 구라쓰쿠리노 토리의 작품[1]
- 호류지 유메도노 구세관음상[1]
- 호류지 백제관음상[1]
- 고류지미륵보살 반가사유상[1]
- 추구지 반가사유상(미륵보살·사찰 전래는 여의륜관음)[1]
아스카데라 본존, 호류지 금당 석가 삼존상 등에 대표되는 양식을 토리식이라고 하며, 아몬드 모양의 눈, 초승달 모양의 날카로운 입술, 아르카익 스마일, 좌우 대칭의 기하학적 의문(衣文), 정면 관조성이 강한 조형 등을 특징으로 한다. 과거에는 토리식 불상이 북위 양식, 호류지 백제관음상 등에 보이는 양식이 남량 양식(남조 양식)이라고 하기도 했다. 그러나 남조의 불상이 현존하는 것이 적고, 일본에 불교를 전한 백제와 북위는 상호 교류가 적었기 때문에 토리식을 북위 양식, 백제관음을 남조 양식이라고 명쾌하게 단정하는 것은 의문시되고 있다.[1]
5. 기타 유물
6. 기타 문화
7. 아스카의 궁실
- 도요우라 궁 - 소가 씨의 씨족 사찰이었던 도요우라 사찰을 개수하여 궁으로 삼았다. 스이코 천황 때의 궁이다.
- 오하라다 궁 - 훗날 궁궐의 원형이 된다. 603년, 스이코 천황이 이 곳으로 거처를 옮겼다.
- 아스카 이타부키 궁 - 643년, 고교쿠 천황이 즉위한 곳이다. 645년, 다이카 개신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 고노 아스카 오카모토 궁 - 사이메이 천황의 궁이다. 임신(壬申)의 난 직후 덴무 천황이 이 곳으로 천궁했다.
- 아스카 기요미하라 궁 - 내곽과 외곽을 가지고 있으며, 내곽은 북쪽과 남쪽 구획으로 나뉜다. 북쪽 구획에는 궁궐이, 남쪽에는 조당과 남문을 갖추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